함월산 산팽나무 함월산 산팽나무 경주 함월산 토심이 좋은 계곡부위에 팽나무의 일종인 산에서 자라는 팽나무가 미모를 자랑하고 있다. 가을에 열매가 숙성해서 황색이면 '산팽나무'이고 검은색이면 '왕팽나무'이다. 현재로서는 익은 열매를 관찰할 수없어 구별하기가 어렵다.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11
[스크랩] 배롱나무/박상진교수 박상진 교수의 나무 이야기[46] 배롱나무(20000808) 미장원서 갓 나온 파마머리 아줌마 마냥 고불고불 진분홍 꽃 커다랗게 뒤집어썼네 뙤약볕이 너무 진하여 햇빛에 잘 달구어진 푸른 나뭇잎마저도 늘어져 버리는 한 여름의 어느 날, 여름 꽃의 대명사 배롱나무 꽃은 비로소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기 시..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10
도동서원 은행나무 도동서원 은행나무 1607년 도동서원이 사액된 것을 기념하기 위헤 한강 정구 선생이 심은 것으로 전해지는 이 나무를 이 서원에 배향된 주인공 을 기리기 위해서 대구시에서 '김굉필 나무'로 명명하였다. 최근 수세가 약화되어 몇년전에 배수작업을 하고 상처부위를 수술하는 등 치료를 한 후 수세가 ..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10
세연서원 배롱나무 세연서원 배롱나무 곽재우 곽준 두분을 모신 세연서원은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에 있다. 서원 서쪽 에 오래된 배롱나무가 본래의 줄기는 속을 비워 겨우 지탱을 하고 있다. 양쪽에 새로운 줄기를 만들어 대를 이을 준비를 하고 있다. 배롱나무는 꽃이 오래 피는 특징말고도 껍질의 유별남이 사람들의 ..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10
가태리의 소태나무 가태리의 소태나무 음식의 맛이 너무 짜거나 쓰면 흔히 '소태 맛'이라고 한다. 소태나무는 잎을 따 씹어보면 지독한 쓴 맛이 난다.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에 500년된 소태나무가 있다. 나무밑에는 평상을 두고 마을 사람들의 쉼터로 쓰고 있다. 소태나무로서는 엄청나게 큰 나무임에 틀림없다. 한 아름도..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09
화원동산의 말채나무 화원동산의 말채나무 7월 8일 노거수탐방이라는 테마투어에 참가한 사람들은 우리 내외와 카메라를 든 두 분 노인을 제외하고는 자녀를 데리고 온 젊은 어머니들이다. 놀토에 자녀들을 데리고 현지 학습이 나선 것이다. 첫번째 모감주 나무를 찾아나선 화원동산에는 다양한 수종을 관찰할 수 있었다. ..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08
현사시나무 수피 현사시나무 수피 현사시나무는 우리나라 육종학의 거두이신 현신규 박사께서 교잡육종한 나무이다. 1960년대 수원 서울농대 수목원에 유별나게 잘 자라는 수원사시나무가 있어 식물분류와 수목학을 전공하신 이창복 교수가 유심히 관찰하고 유전자 등을 검사한 결과 은백양나무와 수원사시나무의 자..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06
느티나무 연리지 통도사 성보박물관 앞에 몇 그루의 느티나무 고목이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오른쪽 나무가지가 왼쪽 나무의 가지와 한 몸을 이루어 연리지가 되어 있다. 성보박물관 쪽에서 본 연리지. 오른족 나무는 이미 수명을 다 했으나 이 나무에서 시집간 가지는 친정나무가 죽었어도 시댁의 나무에서 물과 영양.. ***송연 나무 순례***/기이한 인연 연리지 2006.07.04
[스크랩] 굴참나무 수피(1) 우리가 일반적으로 참나무라고 부르는 나무는 상수리, 굴참, 졸참, 갈참, 신갈나무를 통털어서 일컫는다. 이 다섯 가지 수종은 서로 교잡이 잘 되어서 잡종이 매우 많다. 이 다섯 가지 수종은 전문가외에는 구분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굴참나무만은 껍질이 매우 두꺼워서 육안으로 쉽게 알 수 있다. 포..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7.02
소나무 수피(5) U자형 소나무 줄기 동강 잣봉을 오르다가 마치 하수의 냄새을 방지하는 세면대 배수관 모양의 소나무 줄기를 발견하고는 생명의 끈질긴 모습에 숙연한 마음을 가다듬었다. ***송연 나무 순례***/아름다운 수피(樹皮) 2006.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