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래나무를 한자로는 재(梓)라고 한다. 많은 문인들이 그 동안 써 두었거나, 발표한 작품들을 모아 한 권의 책을 내는 것을 두고 상재(上梓)했다고 하는 것은 옛날 단단한 재질의 가래나무로 만든 목판으로 인쇄를 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추자알
가래나무는 추자라고도 하여 호도와 같이 식용 또는 간염, 간경화 등 약용으로 쓰일 뿐 아니라, 왕이나 황제의 관(棺)을 만드는 데도 사용하였다고 한다.
또한 단단한 알을 손에 넣고 서로 마찰 시키면 중풍이 예방된다는 속설이 전해지면서 각광을 받고 있다.
출처 : 나무이야기,꽃이야기
글쓴이 : 이팝나무 원글보기
메모 :
'***나무이야기*** > 이정웅 숲해설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청도 매전면의 처진 소나무 (0) | 2006.10.16 |
---|---|
[스크랩] 쪽, 다양한 의미로 쓰이는 풀 (0) | 2006.10.10 |
[스크랩] 말채나무가 무성한 달성공원 (0) | 2006.09.29 |
[스크랩] 마지막 황제 순종이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 뱔견 (0) | 2006.09.27 |
[스크랩] 왕버들 (0) | 2006.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