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 500년으로 추정되는 충북 괴산군 적석리 소나무. 천연기념물 제383호. 지난 오랜 세월 마을의 수호신 역할을 해왔다. [중앙포토]
고개를 들어보라. 우리나라 어느 산에서나 소나무가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다. 흔할 뿐만 아니라 국민의 70%가 가장 좋아하는 나무로 꼽을 만큼 친숙하다. 대부분 나무들은 겨울이면 초록옷을 벗어버린다. 하지만 소나무는 대지가 꽁꽁 얼고 눈보라 치는 추위에도 늘 푸름을 잃지 않는다. 한결같고 변치 않음을 상징한다. 그래서 공자도 ‘세한송백’(歲寒松柏)이라 하여 소나무의 지조를 높이 샀다.
국내의 대표적 소나무 숲으로 경북 울진군 소광리 금강소나무 숲과 충남 안면도 자연휴양림을 꼽을 수 있다. 굳이 명소가 아니어도 좋다. 등산길이나 동네공원 어디에서나 소나무의 기상을 느낄 수 있다. 눈 오는 날 서울에서 설송(雪松)을 보고 싶다면 창경궁 명정전으로 가보시길…. 아담한 소나무 숲의 운치를 만끽할 수 있다.
우리와 소나무의 인연은 꽤나 오래됐다. 3000~4000년 전 선조들이 한반도 안으로 이동해 오면서부터다. 그런데 우리의 숲은 원래 참나무를 중심으로 활엽수로 이루어져 있었다. 울창한 숲을 개간하면서 크고 작은 빈터가 생기자 소나무가 점점 세력을 넓혀 갔다. 햇빛을 많이 받아야만 살아남는 것이 소나무의 특징이기 때문이다. 삼국시대나 그 이전의 문화재 발굴 현장에서 출토된 나무를 분석해보면 소나무의 비율이 4~6%에 불과하다. 천마총을 비롯한 임금님의 관재(棺材)로 느티나무나 참나무가 주로 쓰였다. 무늬가 아름답고 단단하며, 잘 썩지 않아서 소나무보다 선호도가 훨씬 높았다.
많이 쓰다 보니 이들 자원도 고갈되기 마련이다. 조선왕조가 건국될 즈음 주변 산에서 쓸 만한 나무는 소나무밖에 남지 않았다. 새 왕조가 들어서면서 궁궐은 물론 관청이나 양반 집을 짓는 재료로 소나무에 의지할 수밖에 없었다. 배를 만들 때도 소나무가 있어야만 했다. 조선왕조는 소나무 보호에 안간힘을 썼다. 벌채 금지령을 내렸고 ‘봉산(封山)’이라는 소나무 특별 보호구역까지 만들었다.
그럼에도 우리의 산은 광복 후까지도 헐벗은 채 남아 있었다.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모자랐고 백성들은 소나무에서 얻어야 할 것이 너무 많았다. 땔감은 물론이고 흉년에는 소나무 껍질을 벗겨 먹고 버텨야 했기 때문이다.
사대부에게 소나무는 선비의 꼿꼿한 기상을 상징했다. 척박한 땅에서 바위 틈까지 가리지 않으며 추위도 이겨내는 강인한 생명력 덕분이다. 송죽매(松竹梅)의 첫머리에 소나무가 들어갔고 수많은 그림에도 소나무는 빠지지 않았다.
식물학적으로 소나무는 종류가 여럿이다. 바닷가에는 해송이란 억센 소나무가 자라며 정원수로는 아래부터 여러 개로 갈라져 자라는 쟁반 모양의 반송이 있다. 수입 소나무인 리기다소나무도 흔히 볼 수 있다.
금강소나무는 백두대간 금강산에서 경북 영덕에 걸치는 산악지대에 주로 자라는 질 좋은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광화문·숭례문 등 우리 문화재 보수에 귀하게 쓰인다. 안타까움이라면 소나무가 우리 주변에서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온난화와 숲이 우거져 소나무의 햇빛을 가리는 것이 원인이다. ‘소나무 에이즈’라는 재선충이 창궐하며 소나무가 일순간에 없어져버리는 재앙도 있다.
박상진 경북대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