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송연글방
검색하기

블로그 홈

송연글방

sisik.tistory.com/m

是夢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겨울나무 산책1/임고서원 은행나무 겨울나무 산책 1/임고서원 은행나무 임고서원의 수문장 은행나무(경상북도 기념물 63호) 잎을 다 내려놓고 혹한에 대비하고 있는 나무의 모습을 담아 보고자 카메라 가방을 메고 찾아간 곳은 영천시 임고서원과 임고초등학교였다. 고려 충신 정몽주 선생을 배향하고 있는 임고서원에는 500년 된 은행나무 한 그루가 수문장처럼 서원을 지키고 있다. 임고서원은 1553년(명종 8년) 임고면 고천동 부래산에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며, 1603년(선조 36년)에 현재의 자리인 양항리에 중건하였다. 은행나무는 본래 임고서원이 부래산에 있을 당시 그곳에 있었던 것을 옮겨 심었다고 하니 임고서원 창건을 기념하여 심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나무의 나이는 500살로 볼 수 있다. 은행나무는 노란 단풍마저 .. 공감수 0 댓글수 0 2021. 1. 31.
  • <겨울나무산책1>벚나무와 송림사 오층전탑 팔공산 남쪽 자락에 자리잡은 송림사는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 말사이다. 진흥왕 5년(544년) 중국에서 귀국한 명관(明觀) 스님이 가져온 불사리를 봉안하기 위하여 창건한 절이다. 창건 당시 호국안민을 위한 탑을 세웠다고 한다. 전탑은 일찌기 중국에서 만들었으며 우리나라에는 벽돌이 없던 초기에는 돌을 벽돌처럼 만들어서 탑을 건립했는데 이를 모전석탑이라고 한다. 송림사 탑은 우리나라에서는 몇 안되는 전탑으로서 상륜부까지 남아있는 완존한 전탑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대웅보전으로 올라가는 계단 오른쪽에 늙은 벚나무 한 그루가 부처님의 보살핌으로 겨우 생명을 유지하고 있다. 그래도 몇달 후면 따스한 봄소식을 부처님에게 전하려고 꽃망울을 만들어 봄을 준비하고 있다. 몇 안되는 전탑 중에서 상륜부가 온전하게 남아있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2. 25.
  • 2020 불국사 단풍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1. 25.
  • 벚꽃 향연 벚꽃 향연 영남대학교 캠퍼스 2020. 03. 29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3. 30.
  • 소백산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 소백산 성혈사 나한전 꽃살문 소백산 성혈사 나한전은 보물 832호로 지정된 귀중한 건물로서 정면 3칸에 6개의 문짝이 있는데 이 6개의 문짝에 우리나라의 대표적이고 독특한 사찰 꽃살문이 있다. -가운데 있는 두 짝은 연지수금(蓮池獸禽) 꽃살문으로 연꽃이 핀 연못에 여러가지 새와 어..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7. 11.
  • 나오시마의 하늘 나오시마의 하늘 미세먼지 없는 일본 나오시마의 하늘에 매료되어 4월 5일 미노우라항의 새벽산책을 내내 하늘만 쳐다보면서 어린시절 고향의 하늘을 떠올렸다. 미우라항 한켠에 자리잡은 '후사마 야요이'의 작품이 여명과 잘 어울려서 선을 보입니다. 일본 나오시마 미노우라항 2019. 04. 0..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4. 7.
  • 뵤도인(平等院) 등나무꽃 뵤도인(平等院) 등나무꽃 2018. 4. 19 일본 교토 우지 뵤도인 등나무 정원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5. 14.
  • 위양지 이팝나무 위양지 이팝나무 2018. 05. 01 밀양 위양지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5. 1.
  • 내소사의 세 가지 보배스러운 나무 내소사의 세 가지 보배스러운 나무 내소사(來蘇寺)는 백제 무왕 34년(633년) 혜구 두타가 소래사(蘇來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하였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없어졌다가 꼭 1000년이 지난 조선조 인조 12년(1663년)에 창민선사가 다시 중창한 절이다. 학창시절에 당나라 장수 소정방이 백제에 와서 ..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6. 16.
  • 하회 삼신당 느티나무 하회 삼신당 느티나무 안동시 하회마을 삼신당 2017. 04. 21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4. 23.
  • 금호강의 해돋이 금호강의 해돋이 금호강 강촌마을 2017. 01. 19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 22.
  • 금호강 해돋이 금호강 해돋이 여객기가 해속으로 2017. 01. 19 금호강 강촌마을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 19.
  • 병신년 마지막 보름달 병신년 마지막 보름달 금호강 강촌마을 2017. 01. 13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 13.
  • 여명 여명 금호강 강촌마을 2017. 01. 11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 13.
  • 일터로 일터로 중국 계림 전심촌 장원교 2016. 9. 23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0. 16.
  • 측백나무(박상진) 정청장님, 좋은 곳 다녀오셨군요. 중국의 백은 우리가 번역할 때는 측백나무로 보는 수밖에 없습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측백나무 설명을 참조하여 주십시요. 측백나무------------------------------------ 측백나무는 중국의 서부 위그로 자치구와 칭하이성 및 남부지역을 제외한 거의 중..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5. 28.
  • 부인사의 낙화 부인사의 낙화 팔공산 부인사 왕벚나무와 탑 2016. 04. 13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4. 24.
  • 기기암 기륭나무 기기암 기륭나무 2013. 4. 5 2013. 4. 5 2013. 5. 3 영천 은해사 기기암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4. 16.
  • 팔공로의 봄 팔공로의 봄 팔공산 팔공로 단풍나무 가로수 2016. 04. 13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4. 16.
  • 화엄사 장육화 화엄사 장육화 화엄사 각황전 2016. 03. 26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3. 30.
  • 달성군 대리 은행나무 12열주(十二列株) 대리 은행나무 2007. 11. 12 2015. 11. 10 달성군 현풍면 대리 은행나무 이 은행나무의 특징은 맹아가 자라서 한그루의 장엄한 은행나무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의 줄기는 베어서 재실을 짓는데 사용하고난 후 줄기의 주변에서 12개의 맹아들이 자라서 한그루처럼 보이지..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2. 12.
  • 화동(花童) 화동(花童) 스리랑카 캔디 Amaya Hills Hotel 2016. 01. 15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2. 12.
  • 인도양의 불새 인도양의 불새 스리랑카의 남쪽에 있는 'Galle'는 바위를 뜻하는 신할리어로 gala에서 나온 것이며, 콜롬보 동남쪽 약 100km지점에 있는 항구 도시. 16세기 초 포르투칼에 점령되어 실론섬의 중요한 항구가 되었으며, 1640년대에 네델란드인에 의해 요새화되고 수도로 만들어졌으나, 1656년 수도..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2. 9.
  • 팔공산 염불암 설경 팔공산 염불암 설경 설경 소나무를 일산으로 삼아 큰 바위에 음각으로 새겨진 관음보살상에 눈이 내려 하얀 옷을 입혔는데 따뜻한 햇살이 그리워 옷을 벗어던졌는데 주름잡힌 옷자락에는 아직도 추위를 가리는 눈솜이 아름다운 선으로 남아 해탈의 길을 가고 있다. 서방정토를 지키는 미..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 31.
  • 시울라이 십자가 언덕 Siauliai 십자가 언덕 리투아니아의 시울라이 십자가 언덕 2012. 08. 23 시울라이 언덕의 십자가 전쟁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를 발트3국이라고 부른다. 발트연안에 있는 유럽변방의 나라이면서 옛 소련연방으로 부터 1991년에 자유공화국으로 독립한 공통점을 가진 나라이다. 옛 소련..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2. 30.
  • 여인의 파안대소 여인의 파안대소 독일 쾰른 슈늬트겐 미술관앞에서 2015. 10. 02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2. 27.
  •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강릉 장덕리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제166호 2015. 11. 17 천연기념물로 지정된지가 오래된 귀한 은행나무지만 언제심었는지에 대한 나무의 유래에 대해서는 주민들도 잘 모르고 있다. 은행나무 주변은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옆에는 정자를 지어 주민들의 쉼터를 마련하였다. 마을 주민들에게 ..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2. 21.
  • 고창 수동리 팽나무 고창 수동리 팽나무 고창 수동리 팽나무 천연기념물 제494호 전북 고창군 부안면 수동리 446번지 이 팽나무는 수동리 대동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로서 지금까지 살아남았다. 대체로 1600년경부터 자라기 시작한 것으로 짐작된다. 나무의 크기는 높이 11.6m, 뿌리목 줄기 둘레 8.60m, 가슴높이 ..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2. 5.
  • 최고(最古)의 무궁화 최고(最古)의 무궁화 강릉 방동리 무궁화 천연기념물 제520호 강릉시 사천면 가마골길 22-8 강릉 박씨 문중 재실에 있는 방동리 무궁화는 나무둘레가 146cm로 현재 알려진 무궁화 중 가장 굵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꽃이 붉거나 분홍색으로 가운데 꽃술부분이 붉은 색갈을 띠는 홍단심계로 ..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2. 5.
  • 뿌리 깊은 나무 뿌리 깊은 나무 강원도 양양 하조대 소나무 2015. 11. 17 공감수 0 댓글수 0 2015. 11. 19.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